티스토리 뷰
목차
경기도에 거주 중인 24세 청년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소식! 바로 '청년기본소득'입니다.
최대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받을 수 있는 이 제도는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
청년의 삶을 안정적으로 이끌어주는 정책입니다.
신청 기간과 대상 조건이 명확히 정해져 있으니, 놓치지 않도록 지금 확인하세요!
지급 대상 생년월일이 해당된다면 바로 신청 가능!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청년기본소득이란?
청년기본소득은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대표적인 청년복지 정책으로,
행복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권 보장을 목적으로 합니다.
분기마다 일정 금액을 지역화폐로 지급해 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도와줍니다.
지원대상 및 조건
- 만 24세 청년
-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고, 3년 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
※ 성남시, 고양시는 2025년 사업 중단으로 해당 주소지 청년은 신청 불가
지급금액 및 방식
- 분기별 25만 원 (최대 연 100만 원)
- 지역화폐로 지급 (카드형 또는 모바일형)
- 기초생활수급자는 일시금 지급 가능 (증명서 제출 필수)
- 유효기간: 일반적으로 3년, 단 시흥·군포·과천은 5년
신청일정 및 지급일
분기 | 신청 기간 | 지급일 | 대상 생년월일 |
---|---|---|---|
1분기 | 2025.03.01 ~ 03.31 | 04.20 | 2000.01.02 ~ 12.31 |
2분기 | 2025.05.01 ~ 05.30 | 06.20 | 2000.04.02 ~ 12.31 |
3분기 | 2025.07.01 ~ 07.31 | 09.10 | 2000.07.02 ~ 12.31 |
4분기 | 2025.10.15 ~ 11.14 | 12.20 | 2000.10.02 ~ 12.31 |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신청 사이트: http://apply.jobaba.net
- 신청 시간: 신청 시작일 09:00 ~ 마지막 날 18:00
경기도 일자리재단 공통 시스템
- 제출서류:
① 신청서
② 주민등록초본 (신청기간 내 발급분, 과거 주소변동 포함)
③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해당자만)
※ 마이데이터 동의 시 초본 자동 제출 가능
Q&A
Q1. 성남시 주민인데 신청 가능한가요?
아니요. 성남시와 고양시는 조례 폐지 및 예산 미편성으로 2025년부터 사업이 중단됩니다.
Q2. 3년 연속 거주가 아닌데도 신청 가능한가요?
네. 경기도 내 총 10년 이상 거주 이력이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
Q3. 지역화폐는 어디서 사용 가능한가요?
경기도 내 해당 시·군에서 지정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지머니 홈페이지 참고.
Q4. 청년기본소득은 몇 번 받을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분기별로 최대 4회(1년)까지 받을 수 있으며, 일부 연령대는 일시금으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Q5. 지급된 지역화폐를 안 쓰면 어떻게 되나요?
지급 후 3년 이내 미사용 시 소멸되며, 시흥·군포·과천은 5년입니다.
마무리하며
청년의 미래를 위해 경기도가 준비한 든든한 기본소득!
단순한 생계지원이 아닌, 삶의 질 향상과 자립을 위한 진정한 기회입니다.
신청 자격이 된다면 꼭 참여하세요. 100만 원, 그냥 지나치면 너무 아깝잖아요!